본문으로 바로가기

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



안녕하세요. 애드라이프 입니다.

3번째 다루는 WIFI모듈인 NodeMCU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Wemos D1 R2보드와 Mini보드에 대해서 다뤘습니다.

환경설정 및 Blynk 설치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바로 NodeMCU에 대한 실물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던 Wemos D1 R2보드에 1/3크기이고 Mini보다 2배정도 큰 크기입니다.

3가지의 WIFI 모듈을 다루면서 실물을 모두 보셔서 아시겠지만 크기가 커질 수록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은 많습니다.

다만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자신이 어떤 용도로 사용 할 것인지 잘 생각하고 그에 맞는 보드를 선정하면 됩니다.


이전 포스팅인 Wemos D1 R2보드때와 똑같이 Blynk프로젝트를 작성합니다.

보드 선택부분에서만 Wemos D1이 아닌 NodeMCU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 

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

1. Blynk어플에서 New Project를 클릭해서 프로젝트 이름과 사용하고자 하는 보드를 선택하고 Create버튼을 

클릭하면 메일로 작성한 프로젝트에 대한 메일이 전송됩니다.(메일내용은 밑에서 다루겠습니다.)




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

2. 작성한 프로젝트에서 첫번째사진 처럼 +버튼을 클릭해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의 아이템을 추가합니다.

그리고 추가한 아이템을 클릭합니다.(아이템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함)



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

3. 배치한 아이템을 클릭하면 사용하고자 하는 포트를 설정할 수 있고 스위치 타입을 누르고 있는 동안 동작 할 것인지

한번 누르면 동작을 유지하고 있을 것인지 정할 수 있습니다.(마지막은 설정이 완료된 아이템 사진입니다.)



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

4. 아이템 설정을 끝내고 첫번째 사진처럼 ▷모양의 실행버튼을 눌러보면 

보드에 프로그램을 업로드 하기 전이기때문에 와이파이가 연결되이 않았기 때문에 두번째 사진처럼 표시됩니다. 

마지막사진은 와이파이가 연결 되었을 때의 사진입니다.




Blynk 프로젝트를 만들었으니 위에서 언급했던 메일내용을 설명하겠습니다.

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


5. 메일을 확인해 보면 Auth Token이라는 곳에 자신이 사용하고자하는 보드에 부여할 고유정보가 표시됩니다.

위 정보로써 Blynk에서 만들었던 프로젝트와 보드가 매칭되는 역할을 합니다. 

복사해두고 밑의 Sketch generator의 링크를 클릭해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링크를 타고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




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

6. 이동한 사이트의 하단을 보면 아두이노IDE에 적용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위 사진처럼 작성되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에서 빨간색 글씨로 표시한 부분에 자신의 정보를 적고 WeMos D1 보드에 업로드 하기만 하면 됩니다.


프로그램을 업로드 하고나서 보드가 와이파이에 연결되었는지 확인 하는 방법은 위에서 언급한대로 

Blynk어플의 프로젝트 상태로도 확인 가능하지만 아두이노IDE의 시리얼 모니터로도 확인 가능합니다.


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

와이파이 연결이 성공적으로 되었을 경우에 시리얼 모니터에 출력되는 화면입니다.


프로그램도 업로드 하고 Blynk프로젝트로 만들었으니 LED를 켜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겠습니다.▼

아두이노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


Blynk프로젝트에서 스위치의 포트를 D6번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회로 구성시 LED를 D6번으로 연결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동영상으로 결과를 확인하면서 이번 포스팅을 끝내겠습니다.▼


지금까지 아두이노(Arduino) 중급 WIFI모듈 NodeMCU(ESP8266)  - LED제어(Blynk)에 대한 포스팅이였습니다.

계속해서 도움되는 포스팅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by 애드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