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Arduino) IDE 스케치 기본 세팅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아두이노IDE를 설치해보았습니다. ▼
2018/10/21 - [아두이노/개발환경 구축] - 아두이노(Arduino)IDE 개발환경 구축 1편
2편에서는 설치한 스케치를
사용하기 전 기본적인 세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편에서 설치한 파일의 실행 아이콘의 모습입니다. ▲
아이콘을 클릭해서 실행시켜 보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그리고 세팅전에는 노트북에 자신이 사용 할 아두이노 보드를 미리연결해 놓으면 편하게 진행하실 수있습니다.▼
보드 연결을 완료 하였다면 프로그램에서 툴 >> 보드 >> 자신의 보드 선택 (필자는 Arduino Uno)▼
다음으로는 보드와 연결 된 포트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쓰고있는 PC에 별다른 기기가 연결되어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포트는 보드 연결과 함께 한개가 검색되고 표시됩니다. 표시된 포트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림을 보면 한개에 포트만 잡히는 것을 확인 하실 수있죠?
현재 제 노트북에는 아두이노 우노 보드말고는 아무것도 연결된게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여러개의 포트를 쓰고있는 경우에는 직접찾아야 합니다만 아주 쉽습니다.▼
장치관리자에가서 포트 항목을 확인해 보면 해당 포트이름이 사용하고 있는 보드 이름으로 보이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자신이 사용 할 보드이름으로 된 포트를 선택하면 된다는 소립니다.
여기까지 하셨다면 스케치의 기본 설정은 모두 끝났습니다.
이제 정상적으로 아두이노 IDE를 쓸 수있는지 동작 테스트를 해볼까요?
아래그림과 같이 파일 >> 예제 >> 01.Basics >> Blink를 선책합니다.
프로그램이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컴파일 기능 사진입니다.▼
작성한 프로그램을 보드에 업로드하는 사진입니다.▼
방금 업로드한 예제는 보드에 있는 LED를 깜박이는 예제입니다.
여러분의 보드에 있는 LED가 깜박깜박 거린다면 정상!!!입니다.
깜박!!! 깜박!!!
지금까지 아두이노IDE 스케치 기본 세팅과 정상동작 TEST에 대한 포스팅이였습니다.
계속해서 도움되는 포스팅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by 애드라이프
'아두이노 > 개발환경 구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IDE 개발환경 구축 5편 회로 Firtzing 설치 및 사용법 (0) | 2018.11.05 |
---|---|
아두이노IDE 개발환경 구축 4편 라이브러리 추가법(feat 헤더파일) (0) | 2018.11.04 |
아두이노(Arduino)IDE 개발환경 구축 3편(회로 시뮬레이터) (0) | 2018.10.26 |
아두이노(Arduino)IDE 개발환경 구축 1편 (0) | 2018.10.21 |